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 하디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통 칼리파
제2대
정통 칼리파
제3대
정통 칼리파
제4대
정통 칼리파
아부 바크르우마르우스만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제5대
정통 칼리파
1
제6대
우마이야 왕조
제7대
우마이야 왕조
제8대
우마이야 왕조
하산 이븐 알리무아위야 1세야지드 1세무아위야 2세
제9대
우마이야 왕조
제10대
우마이야 왕조
제11대
우마이야 왕조
제12대
우마이야 왕조
마르완 1세아브드 알 말리크왈리드 1세술라이만
제13대
우마이야 왕조
제14대
우마이야 왕조
제15대
우마이야 왕조
제16대
우마이야 왕조
우마르 2세야지드 2세히샴왈리드 2세
제17대
우마이야 왕조
제18대
우마이야 왕조
제19대
우마이야 왕조
제20대
아바스 왕조
야지드 3세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마르완 2세아부 알 아바스
제21대
아바스 왕조
제22대
아바스 왕조
제23대
아바스 왕조
제24대
아바스 왕조
알 만수르알 마흐디알 하디하룬 알 라시드
제25대
아바스 왕조
제26대
아바스 왕조
제27대
아바스 왕조
제28대
아바스 왕조
알 아민알 마문알 무타심알 와시크
제29대
아바스 왕조
제30대
아바스 왕조
제31대
아바스 왕조
제32대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알 문타시르알 무스타인알 무타즈
제33대
아바스 왕조
제34대
아바스 왕조
제35대
아바스 왕조
제36대
아바스 왕조
알 무흐타디알 무타미드알 무타디드알 무크타피
제37대
아바스 왕조
제38대
아바스 왕조
제39대
아바스 왕조
제40대
아바스 왕조
알 무크타디르알 카히르알 라디알 무타키
제41대
아바스 왕조
제42대
아바스 왕조
제43대
아바스 왕조
제44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탁피알 무티알 타이알 카디르
제45대
아바스 왕조
제46대
아바스 왕조
제47대
아바스 왕조
제48대
아바스 왕조
알 카임알 무크타디알 무스타지르알 무스타르시드
제49대
아바스 왕조
제50대
아바스 왕조
제51대
아바스 왕조
제52대
아바스 왕조
알 라시드알 묵타피알 무스탄지드알 무스타디
제53대
아바스 왕조
제54대
아바스 왕조
제55대
아바스 왕조
제56대
아바스 왕조
알 나시르알 자히르알 무스탄시르 1세알 무스타심
제57대
아바스 왕조
제58대
아바스 왕조
제59대
아바스 왕조
제60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시르 2세알 하킴 1세알 무스탁피 1세알 와시크 1세
제61대
아바스 왕조
제62대
아바스 왕조
제63대
아바스 왕조
제64대
아바스 왕조
알 하킴 2세알 무타디드 1세알 무타와킬 1세알 무스타심
제63대2
아바스 왕조
제65대
아바스 왕조
제64대2
아바스 왕조
제63대3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 1세알 와시크 2세알 무스타심알 무타와킬 1세
제66대
아바스 왕조
제67대
아바스 왕조
제68대
아바스 왕조
제69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타인알 무타디드 2세알 무스탁피 2세알 카임
제70대
아바스 왕조
제71대
아바스 왕조
제72대
아바스 왕조
제73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지드알 무타와킬 2세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
제72대2
아바스 왕조
제73대2
아바스 왕조
제74대
오스만 왕조
제75대
오스만 왕조
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셀림 1세쉴레이만 1세
제76대
오스만 왕조
제77대
오스만 왕조
제78대
오스만 왕조
제79대
오스만 왕조
셀림 2세무라트 3세메흐메트 3세아흐메트 1세
제80대
오스만 왕조
제81대
오스만 왕조
제80대2
오스만 왕조
제82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1세오스만 2세무스타파 1세무라트 4세
제83대
오스만 왕조
제84대
오스만 왕조
제85대
오스만 왕조
제86대
오스만 왕조
이브라힘 1세메흐메트 4세쉴레이만 2세아흐메트 2세
제87대
오스만 왕조
제88대
오스만 왕조
제89대
오스만 왕조
제90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2세아흐메트 3세마흐무트 1세오스만 3세
제91대
오스만 왕조
제92대
오스만 왕조
제93대
오스만 왕조
제94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3세압뒬하미트 1세셀림 3세무스타파 4세
제95대
오스만 왕조
제96대
오스만 왕조
제97대
오스만 왕조
제98대
오스만 왕조
마흐무트 2세압뒬메지트 1세압뒬아지즈무라트 5세
제99대
오스만 왕조
제100대
오스만 왕조
제101대
오스만 왕조
제102대
오스만 왕조
압뒬하미트 2세메흐메트 5세메흐메트 6세압뒬메지트 2세
^^ 1 :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아바스 왕조 제4대 칼리파
알 하디
أبو محمد موسى بن المهدي الهادي
파일:Dirhem_of_Al-Hadi,_AH_170.jpg
이름아부 무함마드 무사 이븐 알 마흐디 알 하디
أبو محمد موسى بن المهدي الهادي
출생764년 4월 26일
아바스 왕조 테헤란
사망786년 9월 14일 (향년 22세)
아바스 왕조 바그다드
재위 기간아바스 칼리파
785년 7월 24일 ~ 786년 9월 14일 (1년)
전임자알 마흐디
후임자하룬 알 라시드
부모아버지 : 알 마흐디
어머니 : 알 카이주란
종교이슬람 수니파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아바스 왕조 4대 칼리파. 어머니 알 카이주룬과 심한 갈등을 벌이다가 급사했다.


2. 생애[편집]


764년 4월 26일 아바스 왕조의 이란 총독부가 자리잡은 레이(오늘날 이란 테헤란주 샤흐레레이)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아바스 왕조 3대 칼리파 무함마드 알 마흐디이고, 어머니는 비스하 인근에서 베두인 족에 잡혀 메카 인근 노예 시장에 팔렸다가 알 마흐디에게 구매된 알 카이주룬이다. 알 카이주룬은 775년 알 마흐디가 칼리파가 된 후 정식으로 아내가 되었다. 마흐디는 즉위 직후 그를 자신의 후계자로 선포했다. 780년 3월 알 마흐디가 차남 하룬 알 라시드와 함께 동로마 제국에 대항하는 원정을 떠났을 때, 그는 바그다드에 남아서 국정을 돌봤다.

785년경, 그는 요르단의 총독을 맡아 아바스 왕조에 반기를 든 무리를 토벌하고 있었다. 알 마흐디는 차남 하룬을 후계자로 정하라는 알 카이주룬과 재상 야히야 이븐 칼리드의 강력한 권고에 따르기로 했다. 이후 그가 동생을 위해 후계자 지위를 포기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요르단으로 향했다. 그런데 785년 7월 24일, 알 마흐디는 돌연 사망했다. 이슬람 문헌에는 그의 첩 하시나가 또다른 애첩을 질투해 그녀를 독살하려고 독을 넣은 배가 담긴 접시를 가로채서 배를 먹었다가 독살당했다는 설, 사냥 사고로 사망했다는 설이 제시되었다. 어느 쪽이 사실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그의 죽음이 심상치 않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는 아버지의 사망 소식을 듣고 곧바로 바그다드로 향하여 20일 만에 도착하여 칼리파로 선임되었다. 그 후 아히야 이븐 칼리드를 하룬 알 라시드 왕자의 궁정 하지브로 삼고, 알리 이븐 이사를 군대와 바그다드 경비대 수장으로 선임했다. 그는 아버지 대에 궁정에서 강력한 권세를 누렸던 라비 이븐 유누스를 불신해 해임하려 했지만, 라비가 그 전에 사망하자 아들 파둔 이븐 라비가 하지브를 물려받는 걸 용인했다. 한편, 그는 어머니가 동생을 후계자로 바꾸려 했던 사실을 알게 되자 깊은 반감을 품었고, 하룬 대신 자신의 아들 자파르를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다.

하룬과 하룬의 측근을 따르지 않던 군부의 여러 장성이 그의 계획에 찬성했다. 그러나 카라주룬과 야히야 이븐 칼리드는 지지자들과 함께 이에 결사 반대했다. 그는 "일개 신하가 칼리파 승계에 간섭한다"라며 야히야를 투옥했지만, 카이주룬의 강한 권고가 있던 데다 하룬을 따르는 이들이 자신에게 했던 충성 맹세를 저버릴까 두려워서 하룬을 후계자로 인정했다. 이렇게 갈등은 해소되는 듯했지만, 그는 대신들이 카이주룬에게 가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걸 도와달라고 하는 것에 화가 났다. 한 번은 고위 인사들 앞에서 이에 대해 따져물었다.

"그대들의 어머니가 이런 식으로 개입한다면 기분이 어떻겠느냐?"


그러면서 어머니의 집을 방문하는 사람을 죽이고 재산을 몰수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신하들은 카이주룬을 찾아가는 것을 중단했고, 그녀는 국정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했다.

786년, 하산 이븐 알리의 후손인 후세인 이븐 알리가 메디나에서 반란을 일으켜 총독을 추방하고 모스크에 모인 주민들에게 충성 맹세를 받아냈다. 그는 이 소식을 듣고 즉각 토벌대를 보냈고, 토벌대는 메카 인근에서 반란군을 격파했다. 후세인은 죽었고, 후세인의 사촌인 압둘라 이븐 이드리스가 마그레브로 도피하여 789년 베르베르인들을 포섭한 뒤 이드리시 왕조를 건국해 아바스 왕조에 대항했다.

786년 9월 14일, 1년 3개월간 통치하던 그는 돌연 사망했다. 그가 22살의 나이로 요절한 것에 대해 알 타바리는 위궤양으로 사망했다는 설과 부친의 첩이 독살했다는 이야기를 저서에 실었다. 카이주룬이 자신을 정치에서 배제해 버린 아들에 분노해 노예 중 하나에게 밤에 그의 침실로 잠입해 베개로 목을 졸라 죽이게 했다는 소문도 돌았다. 그 후 동생 하룬 알 라시드가 신하들의 추대로 칼리파에 등극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0:13:38에 나무위키 알 하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